음정 |
다양한 튜닝 시스템과 어떻게 정확한 음정으로 연주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.![]() |
Definition
피타고리안 음조
순정 음조 겹음을 바이올린에 연주하거나 현악 4중주에서 코드의 음정을 맞출 때 순정 음조를 활용한다.
'더보기'에 클릭하면 온음계 시스템에서 음 간격간의 비율을 알 수 있다. readmore ![]() 평균율 어떤 시스템을 언제 사용하죠? 피타고리안 음조는 대부분 멜로디, 스케일, 아르페지오에서 사용할 수 있다.
순정 음조는 겹음과 현악 4중주에서 코드 음정을 맞출 때 사용할 수 있다. 평균율은 피아노를 조율하는데 사용되는데, 바이올린과 피아노가 같은 음을 같이 길게 연주할 때만 바이올리니스트가 피아노의 음에 음정을 맞춰야한다. readmore ![]() 표현적인 음정 음정은 가장 강력한 음악적 도구 중 하나이다.
표정있는 연주를 하기 위해서는 피타고리안 음조에 가까운 음조가 좋다.
readmore ![]() Exercises
40에서 연습하기 1
짧은 프레이즈를 선택하고 메트로놈을 40에 설정한다.
하나의 음과 쉼표를 번갈아가면서 연습한다. 쉼표를 다음 연주할 음을 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한다. 머리 속으로 음정을 생각하거나 노래 불러본다. 쉼표를 제거하고 연습한다. 그 다음에는 정확한 리듬으로 여전히 메트로놈 40에서 연습할 수 있도록 진전시킨다. readmore ![]() 40에서 연습하기 2 메트로놈의 속도를 20씩 빠르게 설정하여 연주 템포로 할 수 있을 때까지 연습한다.
또 하나의 짧은 프레이즈를 골라서 같은 방법으로 연습한다. 연습 시간의 절반 정도를 정확하고 실수없는 음정을 위해 연습한다. readmore ![]() Master Classes
표현적인 음정
곡을 연습할 때, 음 하나 하나를 피타고리안 음조로 연습한다.
온음은 음의 간격이 크게. 반음은 음의 간격이 좁게 연습한다. '더보기'에 클릭하면 음계의 음 간격들을 볼 수 있다. readmore ![]() 바이올린과 피아노 When we play with piano, we basically remain in Pythagorean Intonation.
We adjust to the piano intonation when we play long notes in unison with the piano. readmore ![]() 현악 4중주 - 튜닝을 같이 한다. 첼로의 C현과 바이올린의 E현 사이에 있는 5도들은 그 간격을 약간 좁게 튜닝한다.
연주하는 곡과 같은 조표로 몇 개의 코드를 소리낸다. 모든 3도는 순정 음조이어야 하는데, 이때 단3도는 높게, 장3도는 낮게 맞춰야한다. readmore ![]() 프레이즈마다 어떤 음들을 수직적인 음조인 순정 음조에 맞춰야하고, 어떤 음들을 수평적인 음조인 피타고리안 음조에 맞춰야 하는지 결정한다.
3도와 6도같은 화음은 순정 음조에 맞추고, 멜로디와 흘러가는 음들은 피타고리안 음조에 맞춘다. readmore ![]() |
|